search for




 

‘Dahongmi’, a Mid-Maturing, High-Yielding, Red-brown Colored Rice Cultivar with Improved Cultivation Stability
재배안정성이 향상된 중생 다수성 적갈메 ‘다홍미’
Korean J. Breed. Sci. 2023;55(4):381-388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23
© 2023 Korean Society of Breeding Science.

Sang-Beom Lee1, Hyang-Mi Park1, Kuk-Hyun Jung1, Ung-Jo Hyun1, Yong-Jae Won1, Jeong-Heui Lee1, Jung-Hee Jang2, Chae-Young Lee3, Tae-Jin Won2, Ye-Seul Choi3, Yong-Hee Jeon1, Yoon-Sung Lee1, and Eok-Keun Ahn1*
이상범1⋅박향미1⋅정국현1⋅현웅조1⋅원용재1⋅이정희1⋅장정희2⋅이채영3⋅원태진2⋅최예슬3⋅전용희1⋅이윤승1⋅안억근1*

1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16429, Republic of Korea
2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Hwaseong 18388, Republic of Korea
3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Cheongju 28130, Republic of Korea
1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2경기도농업기술원, 3충청북도농업기술원
Correspondence to: *(E-mail: okahn@korea.kr, Tel: +82-31-695-4027, Fax: +82-31-695-4029)
Received October 7, 2023; Revised November 10, 2023; Accepted November 10,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Dahongmi’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quality of colored rice by crossing ‘Jeogjinju’, Korea’s red-brown colored rice variety, with ‘Junam’, a variety known for excellent cultivation characteristics. ‘Dahongmi’ is a mid-maturing cultivar harvested approximately 15 days later than ‘Jeogjinju’, suitable for the mid-central plains. Each ‘Dahongmi’ plant bears 14 panicles, similar to that in ‘Jeogjinju’ but with an additional 22 grains per panicle and a heavier 1000-grain weight compared to that of ‘Jeogjinju’. ‘Dahongmi’ exhibited superior low-temperature germination rate (85.1%) and a higher percentage of fertile grains at a cold-water irrigated nursery (36.2%) compared to ‘Jeogjinju’. The stem height of ‘Dahongmi’ is 89.7 cm, similar to that of ‘Jeogjinju’. However, ‘Dahongmi’ has a third node height 9 cm shorter than that of ‘Jeogjinju’, enhancing its resistance to lodging. Furthermore, it displayed resistance to leaf blast, bacterial leaf blight (K1, K2, and K3 strains), and rice stripe virus, ensuring stability during cultivation. The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Dahongmi’ are 5.5% and 18.9%, respectively, similar to that of ‘Jeogjinju’ (5.9%, 18.3%). The levels of antioxidant components such as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are comparable to that of ‘Jeogjinju’. However, ‘Dahongmi’ does not exhibit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leaf blight strain K3a and delphacidae,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timely and balanced fertilization for effective early-stage management. ‘Dahongmi’ exhibits better yield, straw strength, and plant architecture compared to ‘Jeogjinju’. It has immense potential for augmenting the yield of high-antioxidant-pigmented rice varieties. In addition, it could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the brown rice processing industry (Registration Number: 8680).
Keywords : Rice, Red-brown, Dahongmi, High yield, Antioxidant activity
서 언

쌀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소비되는 작물 중 하나이다. 검정과 빨강, 갈색 등 다양한 색소를 함유한 유색미 품종들은 영양학적 가치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Finocchiaro et al. 2010, Rathna Priya et al. 2019, Sumczynski et al. 2016).

유색미는 백미보다 페놀성 화합물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암 발생과 심혈관 질환 같은 만성적 질환의 위험을 감소함으로써 건강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Liu 2004, Shen et al. 2009). 우리나라는 1970년대 통일벼의 육성으로 수량성 중심의 미곡산업정책에서 고품질, 최고품질, 기능성 중심으로, 그리고 국가기관 주도가 아닌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정책으로 변화하였다. 하지만 국내 쌀 생산량은 2022년 기준 376만 4천톤으로 전년 대비 3.0%가 감소하였고, 재배면적 또한 727,054 ha로 전년대비 0.7% 감소하였다. 통계청의 2022양곡연도(2021년 11월~2022년 10월)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의 쌀 소비량은 56.7 kg으로 전년보다 0.4%(0.2 kg) 감소하였다. 다만 식료품 제조업체가 제품 원료로 사용한 쌀 소비량이 69만 1,422톤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하였고, 특히 레토르트 식품과 냉동식품 등 가공처리 식품분야의 쌀 소비량이 27.2% 급증함을 고려할 때, 항산화 활성이 강한 유색미 품종의 개발은 국내 쌀 산업 육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적진주’는 유색미가 갖는 장점과 산업적으로 그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국내 최초 적갈색인 양질의 유색미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적진주’는 병과 충에 약하고 도복에 약할 뿐만 아니라 조생종으로 수량도 낮은 편이다. 이에 이러한 ‘적진주’의 단점을 개량하기 위해 ‘적진주’를 모본으로, 흰잎마름병(K1~K3)과 줄무늬잎마름병, 도복에 강해 재배특성이 우수한 품종인 ‘주남’(Kim et al. 2007)을 부본으로 활용하여 수량성, 내병성, 도복, 초형 등이 개선되고 경제성, 상품성 및 재배안정성을 높인 ‘다홍미’를 육성하였기에 그 육성경위와 주요 농업적 특성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계통선발 및 농업적 특성 조사

‘다홍미’는 양질의 적갈색 유색미인 ‘적진주’와 도복에 강하며 수량성과 재배특성이 우수한 ‘주남’을 모부본으로 하여 2007년 하계에 인공교배하였다. 계통육종법에 따라 계통선발 및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14년에 ‘수원603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 4년간 중부 평야지 4개소(수원, 화성, 춘천, 청주) 에서 대비품종과 비교하여 보통기 보비재배(N-P2O5-K2O; 9-4.5-5.7 kg/10a)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중부평야지에서 4월 25일에 파종하여 5월25일에 재식거리 30×15 cm로 주당 3본씩 손이앙 하였고. 기타 재배관리는 농촌진흥청 표준재배법에 준하였다. 또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RDA 2012)에 준하여 주요농업형질,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병해충 및 재해저항성 검정

벼 잎도열병검정은 5개 지역의 밭못자리에서 파종하여 30일 후 계통의 이병 정도(0~9)에 의해 조사되었다. 검정포장에 비료는 밑거름으로 21% N복합비료를 74 kg/10a, 추비는 1차로 파종12일에 요소 10 kg, 2차는 파종 20일에 요소 10 kg을 시비하였다. 흰잎마름병검정은 K1(HB1013), K2(HB1014), K3(HB1015) 및 K3a(HB1009) 균계를 최고분얼기에 개체별 잎의 끝부분에 절엽접종하여 30일 후 시험포장에서 이병 정도(0~9)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바이러스병은 검정실에서 유묘 본엽 2~3엽기에 보독충 접종을 3~4일간 실시하고, 접종 후 30일에 조사하였다. 벼멸구 저항성은 본엽 2~3엽기에 충령이 2~3령인 충을 개체당 4~5마리 접종하고 감수성 품종인 ‘태백’벼 고사 후 조사하였고 애멸구도 본엽 2~3엽일 때 개체 당 4~5마리 접종하고 7~10일 후 감수성 품종이 고사한 후 조사하였다. 또한 생리장해 저항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발아율과 내냉성, 도복저항성 시험을 하였다. 수발아율은 출수 후 40일된 주간이삭을 3반복으로 채취하여 온도 25℃와 포화습도 상태인 실내 약실(chamber)에서 7일 동안 처리한 후 조사되었다. 내냉성은 시험계통 이앙 후 30일부터 등숙기까지 수온17℃의 냉수로 처리하여 적고와 출수지연일, 임실율, 성숙기 표현형 정도를 조사하였다. 도복저항성 검정에서 좌절중은 출수 후 20일된 개체의 주간 기부 10 cm를 잘라 중앙부에 하중을 걸어 부러질 때까지의 무게를 의미한다. 따라서 좌절중 측정기(SHMPO FGX series, Japan)로 개체를 3반복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도복지수는 모멘트[(주간간장+수장)×총 생체중]/좌절중(g) x100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포장도복에 대한 달관조사는 출수 후 30일에 이삭줄기와 지표면의 경사각(15%미만: 1, 16~30%: 3, 31~45%: 5, 일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 7, 완전히 닿은 상태: 9)을 기준으로 시행하였다.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도 분석

분쇄된 시료의 일정량을 취하여 80% 에탄올로 상온에서 24시간동안 3회 진탕추출(WiseCube WIS-RL010, Daiha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한 다음 여과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을 위해 추출물 50 μL에 2% Na2CO3 용액 1 mL를 가한 후 3분간 방치하여 50% Folin-Ciocalteu reagent(Sigma-Aldrich) 50 μL를 가하였다. 30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인 gallic acid(Sigma-Aldrich)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Dewanto et al. 2002). 시료 100 g당 mg gallic acid equivalent(GAE, dry basis)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물 250 μL에 증류수 1 mL와 5% NaNO2 75 μL를 가한 다음, 5분 후 10% AlCl3.6H2O 150 μL를 가하여 6분 방치하고 1N NaOH 500 μL를 첨가하여 11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510nm에서 측정하였다(Dewanto et al. 2002). 표준물질인 (+)-catechin(Sigma-Aldrich)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시료 100 g당 mg catechin equivalent(CE, dry basis)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Aldrich) radical 소거 활성도를 통해 측정하였다(Choi et al. 2006).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0.2 mM DPPH 용액(99.9% ethanol에 용해) 0.8 mL에 시료 0.2 mL를 첨가한 후 520 nm에서 정확히 30분 후에 흡광도 감소치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단위: mg/100 g)로 나타내었다.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 분석

아밀로스 및 단백질은 AOAC(2000) 방법에 따라 3반복으로 분석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Kjeldahl 질소 정량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Jiliano(1985)법에 따라 시료 호화 후 1 N acetic acid와 2% I^-KI 용액을 반응시켜 620nm에서 분광광도계(Evolution 600,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로 측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육성 경위

‘다홍미’는 국내 최초 적갈색 유색미인 ‘적진주’의 수량성, 내병성 및 초형을 개량하기 위해 모본 ‘적진주’와 도열병과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및 도복 저항성이 강한 ‘주남’을 부본으로 2007년 하계에 인공교배하여 교배번호 SR31754를 부여하였다. 2008년 하계에 수원에서 F1 세대 20개체를 양성한 후, F2 세대에서 1,026개체를 전개하였다. 2010~2013년에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계통육종법에 따라 특성검정을 병행하면서 F3세대에서 F6 세대를 경과 시켜 2013년에 우량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SR31754-52-1-1-3계통에 대하여 2014~2016년 3년 간 생산력검정시험 및 본시험을 실시하여 수량성이 우수하고,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603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6~2019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내병성과 수량이 향상된 적갈색미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9년 12월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다홍미’로 명명되었고 2020년에 출원, 2021년에 품종보호권등록(품종보호 제8680호, 국립종자원)이 완료되었다(Figs. 1, 2 and 3).

Fig. 1. Pedigree diagram of ‘Dahongmi’.

Fig. 2. The stature of red-brown colored rice variety, ‘Dahongmi’ (Suwon603) improved yield and lodging resistance in the paddy field. Unhulled and brown rice of ‘Dahongmi’ (bottom left).

Fig. 3. Reaction to rice blast disease (A) and bacterial blight of ‘Jeogjinju’ (B) and ‘Dahongmi’ (C).

생육특성

‘다홍미’의 출수기는 중부평야지 4개소에서 8월 8일로 ‘화성’보다 2일 빠르고 ‘적진주’보다 15일 늦은 중생종이었다(Table 1). 간장은 80 cm로 ‘적진주’보다 7 cm 길고(p<0.01) 수장은 21 cm로 ‘적진주’와 동일하였다. 평균 주당수수는 14개로 ‘적진주’에 비해 1개 많았고, ‘다홍미’의 수당립수는 119개로 ‘적진주’에 비해 22개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등숙비율은 80.5%로 ‘적진주’의 82.6%와 비교하여 유사하였고, 현미 천립중은 22.7 g으로 ‘적진주’의 20.9 g에 비해 무거웠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2). 이와 같이 ‘다홍미’는 ‘적진주’에 비해 출수가 다소 늦긴 하나, 주당수수와 수당립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운 특성을 갖는다. ‘다홍미’의 저온발아율은 45.5%인 ‘적진주’ 대비 85.1%로 월등히 높았고(p<0.01), 파종 후 30일째 측정한 유묘초장은 16.8 cm로 19.4 cm 인 적진주’보다 유의수준(p<0.01)에서 짧았다. ‘다홍미’와 ‘적진주’ 모두 초기 신장성은 양호하였고, 유묘냉해(13℃, 10일) 및 적고 또한 유사하였다(Table 3).

Table 1

Heading date of red-brown colored rice cultivar, ‘Dahongmi’ ('16~'19, LATz).

Plain Region Seeding date Transplanting date Heading date
Dahongmi Jeogjinju
Central 4 site including Suwon Apr. 25 May 25 Aug. 8 Jul. 24

zLocal adaptability test



Table 2

Major agronomic traits and yield components of ‘Dahongmi’ ('16~'19, Suwon).

Variety Culm lengthz (cm) Panicle length (cm) No. of panicles/hill No. of spikelet/panicle Ratio of ripened grain (%) Weight of 1000 grains (g)
Dahongmi 80** 21ns 14** 119** 80.5ns 22.7**
Jeogjinju 73 21 13 97 82.6 20.9

Asterisk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eogjinju’ and ‘Dahongmi’ as evaluated by the t-test: **p<0.01, *p<0.05, ns Not significant

zLength from soil surface to panicle neck



Table 3

Major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Dahongmi’ in the early stages ('16~'19, LATz).

Variety Germinationy rate (%) Seedlingx height(cm) Early elongation Coldw tolerance Discoloration
Dahongmi 85.1** 16.8** normal 3 4
Jeogjinju 45.5 19.4 normal 4 5

Asterisk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eokjinju’ and ‘Dahongmi’ as evaluated by the t-test: *p<0.05

zLocal adaptability test

yGermination rate was investigated after incubating 13℃, 15days

wCold tolerance was evaluated at seedling stage after treating 13℃, 10days



생리장해 및 도복 저항성

‘다홍미’는 못자리 일수 50일묘 이앙에서 불시출수가 없었으며, 수발아율은 32.9%로 31.3%인 ‘적진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성숙기에 하엽노화는 늦으며 위조현상은 없었다. ‘다홍미’의 냉수처리 내냉성 검정 결과 출수지연일수는 9일로 ‘적진주’보다 13일 짧았으며, 냉수구 임실율은 36.2%로 16.2%인 ‘적진주’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종합내냉성(PA)은 7로 약한 편이었다(Table 4). 도복과 관련 특성에서 ‘다홍미’의 벼키는 89.7 cm로 ‘적진주’와 유사하였고, 좌절중은 1,230 g으로 ‘적진주’보다 무거웠다. 또한 3절간장이 9 cm로 ‘적진주’에 비해 짧아 도복에 강한 특성을 가짐으로써 재배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able 5).

Table 4

Response to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stress ('16~'19, LATz).

Variety Premature heading (%) Appe-arance of wilting Adult leaf sense-cence Premature germination of panicley (%) Cold tolerancex
Heading delay (days) Grain fertility (%) PAw
Dahongmi 0.0 Strong Late 32.9ns 9** 36.2* 7
Jeogjinju 10.3 Strong Normal 31.3 22 16.2 8

nsNot significant

zLocal adaptability test

yGermination rate at 7 days after incubation (25℃, 100% RH)

xCold tolerance was evaluated at a cold-water (17℃) irrigated screening nursery in Chuncheon

wPhenotypic acceptability : strong(1), medium strong(3), medium(5), medium weak(7), weak(9)



Table 5

Agronomic traits related to lodging resistance of ‘Dahongmi’ ('16~'19, LATz).

Variety Culm length (cm) Third internode-length (cm) Breaking strength (g) Lodging index Lodging in the field (0~9)
Dahongmi 89.7 9.0 1,230 100 1
Jeogjinju 89.5 10.8 1,079 98 1

zLocal adaptability test



병해충 및 재해저항성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밭못자리 5개 시험지에서 ‘다홍미’의 잎도열병 반응을 검정한 결과 강(0~3)의 저항성을 나타내였고, 포장검정에서 목도별병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Table 6).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은 K1, K2, K3균계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으나 K3a 저항성이 없었다. 또한 바이러스병인 줄무늬잎마름병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으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대해 ‘적진주’와 유사하게 약한 반응을 보였다. 해충에 대해서는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ål) 및 애멸구(Delphacodes striatella Fallem)에 모두 약한 반응을 보였다(Table 7).

Table 6

Reaction to rice blast disease of ‘Dahongmi’ which has moderate resistance about leaf and neck blast ('16~'19, LATz).

Variety Reaction to leaf blast at nursery testx (0-9) Reaction to neck blast (%)
No. of site tested (12) Yesan Iksan Milyang
Ry (0-3) M (4-6) S (7-9)
Dahongmi 5 7 0 0.0 0.6 1.7
Jeogjinju 5 6 1 0.0 1 0.0

zLocal adaptability test

yR: resistant(Degree, 0-3), M : moderate(Degree, 4-6), S : susceptible(Degree, 7-9)

xData was investigated in 12 leaf blast test site at local adaptability test region



Table 7

Reaction to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of ‘Dahongmi’ ('16~'19, LATz).

Variety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s Resistance to insects
K1 K2 K3 K3a Stripe Dwarf BSDx BPH SBPH
Dahongmi Ry R R S R S S S S
Jeogjinju S S S S S S S S S

zLocal adaptability test

yR : resistant, S : susceptible

xBSD : black-streak dwarf, BPH : brown planthopper, SBPH : small brown planthopper



수량성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수원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을 하여 평균 현미수량이 579 kg/10a로 ‘적진주’에 비해 29% 증수됨을 검증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에 중부평야지대 수원, 화성, 춘천, 청주 4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다홍미’의 현미 수량은 평균 596 kg/10a로 대비품종인 ‘화성벼’(554 kg/10a)과 ‘적진주’(491 kg/10a)보다 각각 대략7.5%, 21.3% 높게 나타났다(p<0.01)(Table 8). 이 결과는 ‘다홍미’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유색미인 ‘적진주’의 수량성을 개선한 다수성 품종임을 입증한다.

Table 8

Yields of red-brown colored rice cultivar, ‘Dahongmi’ ('16~'19, LATz).

Region 5 sites Brown rice yields (kg/10a)
Dahongmi Hwaseongbyeo (Jeogjinju)
'16 '17 '18 '19 Ave. '16 '17 '18 '19 Ave.
Central Suwon 659 637 687 629 653 605
(567)
613
(500)
595
(486)
573
(463)
597
(504)
Hwaseong 617 636 567 509 583 546
(547)
560
(490)
529
(505)
474
(447)
527
(497)
Chuncheon 640 649 571 649 628 655
(608)
622
(507)
577
(556)
624
(606)
620
(570)
Cheongju 604 489 499 499 523 527
(443)
447
(354)
444
(410)
474
(366)
473
(393)
Average 630 603 581 571 596** 583
(541)
561
(463)
536
(489)
536
(471)
554
(491)

Asterisk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eogjinju’ and ‘Dahongmi’ as evaluated by the t-test: **p<0.01

zLocal adaptability test



입형 및 미질특성, 항산화 성분 함량

‘다홍미’의 입형은 정조 장폭비가 2.16, 현미 장폭비가 1.71로 ‘적진주’(2.18, 1.74)와 유사하고,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도 각각 5.5%, 18.9%로 ‘적진주’(5.9%, 18.3%)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다홍미’와 ‘적진주’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9). 또한 DPPH 활성 소거능 분석 결과에서도 ‘다홍미’와 ‘적진주’는 각각 81.33%, 90.75%로 두 품종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TEAC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단위: mg/100 g) 값 역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10).

Table 9

Grain shape,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Dahongmi’ ('16~'19, LATz).

Variety Unhulled rice Brown rice Protein content (%) Amylose content (%)
L/Wv) L/W
Dahongmi 2.16 1.71 5.5 18.9
Jeogjinju 2.18 1.74 5.9 18.3

zLocal adaptability test

vlength/width ratio



Table 10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of ‘Dahongmi’ ('16, Suwon).

Variety Total polyphenolics (mg GAE/g) Total flavonoids (mg CE/g) TEAC value (mg Trolox/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Dahongmi 4.20ns 0.441ns 1.73ns 81.33ns
Jeogjinju 4.45 0.604 1.61 90.75

Asterisk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hongmi’ and ‘Jeogjinju’ as evaluated by the t-test: ns Not significant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다홍미’는 중부평야지에 적응하는 중생종으로 질소질 비료 과용 시 도복, 등숙률 저하와 병해충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적정 균형시비를 하여야 한다. 또한 흰잎마름병 균계 K3a와 멸구류에는 저항성이 없으므로 적기에 기본방제가 요구되며 키다리병 방제를 위해 철저한 종자소독이 필요하다.

적 요

‘다홍미’는 수량성, 내병성, 외관품위, 기능성 성분 향상을 통해 시장경제성과 상품성을 높여 쌀 소비를 활성화 하고자 육성되었다. 국내 최초 유색미인 ‘적진주’를 모본으로 하고, 도복과 흰잎마름병 및 도열병에 저항성을 갖는 ‘주남’을 부본으로 교배한 후 계통육종법에 의해 2019년 내병성과 수량성이 향상된 적갈색미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었다. ‘다홍미’의 주요 농업적 특성은 중부평야지 4개소에서 출수기가 8월 8일로 ‘화성’보다 2일 빠르고 ‘적진주’보다 15일 늦은 중생종이다. ‘다홍미’의 간장은 80 cm로 ‘적진주’보다 7 cm 길고, 수당립수는 119개로 많았으며, 현미 천립중은 22.7 g으로 무거웠다. 수장과 주당수수, 등숙비율은 ‘적진주’와 유사하였다. 50일된 묘 이앙에서 불시출수가 없었고 성숙기에 하엽노화는 늦으며 위조현상은 없었다. 수발아율은 32.9%로 ‘적진주’와 유사한 수준이며, 종합내냉성은 약한 편이지만 출수지연일수가 9일로 ‘적진주’에 비해 대략 13일 짧았다. 도복과 관련하여 ‘다홍미’의 벼키는 ‘적진주’와 유사하나 좌절중이 무겁고 3절간장이 짧아 도복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잎도열병, 흰잎마름병(균계 K1, K2, K3)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병인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반응을 보였으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ål) 및 애멸구(Delphacodes striatella Fallem)에 약한 반응을 보였다.

중부평야지대 수원, 화성, 춘천, 청주 4개소에서 4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홍미’의 현미 수량은 평균 596 kg/10a로 대비품종인 ‘화성’(554 kg/10a)과 ‘적진주’(491 kg/10a)에 비해 각각 7.5%, 21.3% 증수되었다. 또한 ‘다홍미’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20 mg GAE/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441 mg CE/g이었으며,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 소거능은 81%로 ‘적진주’와 유사하게(p>0.05)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항산화활성이 ‘적진주’와 유사하면서 수량성과 내도복성, 외관품위가 개선된 ‘다홍미’는 적갈색미의 생산 경제성을 높여 소비자에게 안정적으로 보급될 수 있으며, 식품에서 기능성을 선호하는 소비문화에 대응하여 시장에서의 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 사

‘다홍미’를 육성함에 있어 적극 협력하여 주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경기도농업기술원,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지역적응시험 담당자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기관고유사업(공동과제명: Saltol 유전자좌 기반 용도다양화 벼 품종개발, 과제번호: PJ016752012023)의 지원으로 수행한 결과입니다.

References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CrossRef
  2.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CrossRef
  3.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 4959-4964.
    Pubmed CrossRef
  4. Finocchiaro F, Ferrari B, Gianinetti A. 2010. A study of biodiversity of flavonoid content in the rice caryopsis evidencing simultaneous accumul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a black-grained genotype. Journal of Cereal Science 51: 28-34.
    CrossRef
  5. Juliano BO. 1985. Polysaccharide, proteins, and lipids of rice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p. 59-174.
  6. Kim YG, Hong HC, Hwang HG, Choi IS, Cho YC, Baek MK, Choi YH, Kang KH, Shin YS, Lee JH, Kim HY, Yea JD, Ryu HY, Jeong EK, Yang CI, Jung KH, Jeong OY, Jeon YH. 2007. A mid-late maturing, multi-disease resistant and good-quality rice variety 'Samkwangbyeo'. Korean J Breed Sci 39: 582-583.
  7. Liu RH. 2004.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mechanism of ac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134: 3479S-3485S.
    Pubmed CrossRef
  8. Rathna Priya TS, Eliazer Nelson ARL, Ravichandran K, Antony U. 2019.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oloured rice varieties of South India: a review. Journal of Ethnic Foods 6: 1-11.
    CrossRef
  9. RDA. 2012. The investigative and analytical standards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SBN 9788948016499. https://books.google.co.kr/books?id=RSRNtAEACAAJ
    CrossRef
  10. Shen Y, Jin L, Xiao P, Lu Y, Bao J. 2009.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ournal of Cereal Science 49: 106-111.
    CrossRef
  11. Sumczynski D, Kotásková E, Družbíková H, Mlček J. 2016. Determination of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e and bound phenolics compound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commercial black and red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Food Chemistry 211: 339-346.
    Pubmed CrossRef


December 2024, 56 (4)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Fund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