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A Peanut Variety, ‘Gowon1’ with Large Grain and High Fresh Pod Yield
풋땅콩 재배용 대립 다수성 땅콩 ‘고원1호’
Korean J. Breed. Sci. 2024;56(3):345-351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2024
© 2024 Korean Society of Breeding Science.

Eunyoung Oh*, Sungup Kim, Jung In Kim, Min Young Kim, Sang Woo Kim, Jeongeun Lee, Eunsoo Lee, Chae-Yeon Han, Heungsu Lee, and Myoung-Hee Lee
오은영*⋅김성업⋅김정인⋅김민영⋅김상우⋅이정은⋅이은수⋅한채연⋅이흥수⋅이명희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iryang 50424, Republic of Korea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Correspondence to: Eunyoung Oh
TEL. +82-55-350-1232
E-mail. lavondy10@korea.kr
Received July 12, 2024; Revised August 6, 2024; Accepted August 7, 2024.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Gowon1’ is a large-sized and high-yielding peanut (Arachis hypogaea L. ssp. hypogaea var. hypogaea), which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Miryang, and approved for release in 2019. For the harvest of vegetable peanuts, a large-sized pod and comparatively early maturation with high fresh-pod yield are required. ‘Gowon1’ was developed through pedigree selection from a single cross between the large-grain, short-stem variety ‘Pungsan’ and ‘Miryang47’, the early-maturing elite line. ‘Gowon1’ has 11 branches with the main stem and branch lengths of 43 cm and 49 cm, respectively. Each pod contains two seeds with a brown testa and a long ellipse-shape. ‘Gowon1’ exhibits 42 pods per plant, a 100-seed weight of 98 g and 80% mature pod ratio. Seed composition includes 30.2% protein, 47.0% crude fat, and 45% oleic acid, among other fatty acids. In regional yield trials conducted at four locations (2016-2018), ‘Gowon1’ demonstrated enhanced productivity, with an average fresh pod yield of 12.25 MT per hectare, which was 28% higher than the reference variety, ‘Palkwang’. It also exhibited higher resistance to early and late leaf spot and lodging compared to the reference variety in trials (Registration No. 9196).
Keywords : peanut, oilseed crop, vegetable peanut, pod yield
서론

땅콩(Arachis hypogaea L.)은 풍부한 지방과 단백질 함량을 바탕으로 볶음 땅콩, 버터, 소스, 제과 등과 같은 용도로 식생활에서 폭넓게 이용되고있다(Norden et al. 1987). 국내에서는 주로 건조 후 탈각 하여 가공식품 등으로 활용되는 종실 땅콩과 수확 후 건조 과정 없이 바로 생 꼬투리 형태로 유통되어 간식으로 소비되는 풋땅콩, 이 두 가지 용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Park & Park 2002, Son et al. 1998). 땅콩의 가식 부위인 자엽은 지하부 꼬투리의 발달단계에 따라 성분의 변이가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 성숙단계가 발달할수록 종실의 지질과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며, 반대로 유리당 함량은 감소한다(Lee et al. 1999, Li et al. 2021, Pattee et al. 1974). 건조시키지 않은 생땅콩의 종실은 건조된 땅콩 종실에 비해 수분이 풍부하며 상대적으로 단백질과 지질 함량이 낮아 칼로리가 낮은 특징이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1). 이러한 건조시키지 않은 생땅콩을 주로 생산하는 땅콩 재배농가에서는 외관이 깨끗하며 꼬투리의 크기가 크고 무거운 품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이를 위해 풋땅콩 재배를 위한 품종 개발에 있어 초기생육이 다소 빠르면서도 꼬투리 크기가 크며 균일도가 높은 특성을 육성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비닐 멀칭 재배의 일반화와 함께 땅콩 생육기간 중 지온 상승과 수분 보존 등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대립 품종에 대한 이른 수확과 생육일수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Lee et al. 1997, Pae et al. 2002). 생산자의 선호도가 높은 대립 품종인 ‘백안’(Pae et al. 2006)과 ‘보름1호’(Pae et al. 2015), 그리고 자색 종피색의 대립 품종인 ‘세원’(Pae et al. 2020)등의 품종이 개발되어 풋땅콩 재배를 위한 품종으로 보급되었다. 최근 재배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도복에 강하면서 조기낙엽을 일으키는 갈색무늬병, 그물무늬병 등에 강한 풋땅콩 재배용 신품종 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풋땅콩 수요에 적합한, 초기 생육이 빠르면서도 꼬투리 크기가 크며 수량성이 우수한 땅콩 품종인 ‘고원1호’를 육성하여 육성 경위와 품종의 농업적 형질 등의 주요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고원1호’의 지상부 형태와 특성, 지하부 생육과 수량성 평가를 위해 생산력검정시험을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수행하였으며,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진행하였다. 해당 시험에 대한 재배 평가를 위해 표준품종으로 ‘팔광’(Oh et al. 1998)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재배방법으로 조간거리 40 cm, 휴간거리 70 cm, 주간거리 25 cm의 1휴 2열을 설정하였다. 시험재배구에 폭 110 cm, 두께 0.015 mm, 재식구 지름 5 cm의 규격의 흑색폴리에틸렌유공비닐로 피복 하였으며, ha 당 기비 N-P2O2-K2O: 30-100-100 kg와 소석회 약 1 ton, 그리고 완숙 퇴비 10 ton을 시용하였다. 재배는 구멍당 종자 2립을 기준으로 4 cm 깊이로 4월 하순경 직파하였으며, 본엽의 지상부 출현 후 1주 1본 형태로 ha당 72,730개체 수준의 재식 밀도로 고정하였다. ‘고원1호’의 생육과 수량 특성은 농촌진흥청의 땅콩 연구조사분석기준(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에 준하여 조사되었다. 지상부 생육 중 원줄기 길이, 분지 길이, 분지 수는 개화기를 시점으로 약 60일경 각 시험구 내의 식물체 10주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땅콩의 지하부 수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화기 80일을 기준으로 시험구당 6 m2의 면적을 굴취하여 꼬투리의 그물무늬가 뚜렷하게 발현되어 충분히 성숙한 땅콩 꼬투리를 기준으로 풋땅콩 수량과 풋땅콩의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다. 이후 꼬투리는 종실 수분이 약 6%에 도달 할 때까지 건조하여 수량구성요소와 종실수량을 평가하였다. 종실을 분쇄하여 균질화 시킨 시료를 대상으로 조단백질 함량(RapidNcube, Elementar, Germany)과 조지방 함량 (B811, Buchi, Switzerland)을 분석하였으며, Lee 등(2016)의 방법에 따라 가스크로마토그래피(7890A, Agilent USA)를 이용하여 종실의 지방산 조성비를 구하였다.

결과 및 고찰

육성경위

‘고원1호’는 2008년 다분지 다수성 품종인 ‘풍산’(Pae et al. 2008)을 모본으로, 분지수가 14개 수준으로 적고, 분지의 직립성이 뚜렷한 유망계통 ‘밀양47호(HP722)’를 부본으로 2008년 교배를 수행하였으며, 계통육성법으로 선발 육성하였다(Fig. 1). 2010년 F2 계통을 시험포장에 전개하여 초기생육이 빠르고 분지수가 부본에 가깝게 적으면서도 100립중 기준 95 g 이상으로 꼬투리가 커 풋땅콩 재배에 적합한 개체들을 선발하였다. 이후 세대 진전과 포장 평가를 통해 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의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수량과 형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후 선발된 유망계통을 ‘밀양75호’로 명명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간 밀양, 청주, 대구, 익산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로 2019년도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의를 통해 선정되어 ‘고원1호’로 명명되었다.

Fig. 1. Pedigree diagram of ‘Gowon1’ peanut.

고유특성 및 일반특성

‘고원1호’의 초형은 원줄기와 분지에 개화하는 ‘신풍형’(Lee et al. 1983)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잎의 크기는 크고 정단부의 모양이 좁고 뾰족하며 진한 녹색을 띠는 것이 특징적이다. 대조 품종인 ‘팔광’의 초형은 ‘버지니아형’으로 분지에만 개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잎의 크기가 ‘고원1호’와 비교하여 비교적 작고 녹색을 띤다. ‘고원1호’는 꼬투리당 종실이 2개씩 맺히고 종자는 장폭비가 1.93으로 장구형 형태를 보이며 종피색은 갈색이다(Table 1, Fig. 2). ‘고원1호’의 평균 개화기는 6월 9일로 대조 품종인 ‘팔광’보다 1일 이르며, 원줄기의 길이는 43 cm이며 분지의 길이는 49 cm로 ‘팔광’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원1호’의 평균 분지 수는 11개로 ‘팔광’ 보다 약 14개 적었다(Table 2). 지하부 특성으로는 ‘고원1호’의 평균 성숙 꼬투리 수는 42개이며 성숙 꼬투리의 비율은 80%로 약 2%p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꼬투리 무게 대비 종실의 무게 비율은 67%로 ‘팔광’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고원1호’의 100립중은 98 g, 꼬투리 100개당 종실 의 수는 평균 162개로 나타났다(Table 3). 건조시키지 않은 생꼬투리의 경우, 상품성이 있는 꼬투리 수가 ‘고원1호’에서 개체당 42개로 ‘팔광’의 33개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많았다. 생꼬투리 100개의 무게도 392 g으로 ‘팔광’ 대비 유의하게 높았으며, 건조시키지 않은 종실 100립의 무게도 151 g으로 ‘팔광’의 139 g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건조시키지 않은 생꼬투리로 조사한 성숙 꼬투리 비율과 협실 비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4).

Table 1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won1’.

Variety Plant typez Pod setting Leaf color Seeds per pod Leaf size Seed shape(length/width) Testa color
Gowon1 Shinpung Main stem & branch Dark green 2 Large Long ellipse

(1.93)
Brown
Palkwang Virginia bunch Branch Green 2 Small Long ellipse

(1.89)
Brown

zShinpung: Intermediate plant type of Spanish and Virginia bunch



Table 2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Gowon1’ (2016-2018, Regional yield trial).

Variety Flowering date Length of main stem (cm) Length of branch (cm) No. of branch per plant
Gowon1 June 9 43±11.6nsz 49±10.9ns 11±1.3**
Palkwang June 10 44±12.3 53±12.5 25±7.0

zns indic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and **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in the paired t-test.



Table 3

Pod and seed characteristics of ‘Gowon1’ (2016-2018, Regional yield trial).

Variety No. of pod per plant Matured pods (%) Shelling ratio (%) Wt. of 100 seed (g) No. of seeds per pod
Gowon1 42±5.0nsz 80±12.5ns 67±6.8* 98±13.6ns 1.62±0.14ns
Palkwang 40±7.8 78±14.0 72±7.0 92±9.6 1.69±0.16

zns indic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and *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in the paired t-test.



Table 4

Yield related characteristics of undried-vegetable peanut of ‘Gowon1’ (2016-2018, Miryang).

Variety No. of fresh pods per plant Pod weight
(g/100 pod)
Ratio of matured pod (%) Shelling ratio (%) 100 seed wt. (g)
Gowon1 42±4.29**z 392±10.13** 83±6.26ns 68±3.19ns 151±7.35**
Palkwang 33±4.51 343±9.76 82±7.78 71±4.02 139±8.18

z ns indic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and **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in the paired t-test.



Fig. 2. Plant (A) pod (B) and seed (C) of ‘Palkwang’ (left) and ‘Gowon1’ (right) peanut.

내병충성 및 내도복성

‘고원1호’는 3년간의 지역적응시험에서 대조 품종 ‘팔광’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생육 중기 이후 갈색무늬병 (Cercospora arachidicola)과 검은무늬병(Cercosporidium personatum), 흰비단병(Agroathelia rolfsii)의 발생이 다소 적었으며, 그물무늬병 (Phoma arachidicola)의 발생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시험포장 내 거세미나방과 풍뎅이류 유충에 의한 피해는 ‘팔광’과 비교하여 다소 적게 관찰되었으며, 도복의 경우 ‘고원1호’가 ‘팔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Table 5).

Table 5

Evaluation of resistance to major peanut disease, insect, and lodging of ‘Gowon1’ (2016-2018, Regional yield trial).

Variety Disease severity (0-9)z Insect damage (0-9)y Lodging (0-9)x

Early leaf spot
Cercospora arachidicola
Late leaf spot
Cercosporidium personatum
Web blotch
Phoma arachidicola
Southern blight
Agroathelia rolfsii
Gowon1 1 1 3 1 1 1
Palkwang 1 1 3 3 1 7

z0; None, 1; 0.1~10%, 3; 10.1~20%, 5; 20.1~30%, 7; 30.1~50%, 9; over 50.1%.

y0; None, 1; 0.1~2%, 3; 20.1~5%, 5; 5.1~10%, 7; 10.1~30%, 9; over 30.1%.

x0; None, 1; under 5%, 3; 10~20%, 5; 30~40%, 7; 50~60%, 9; over 70%.



품질특성

‘고원1호’의 건조 종실 내 주요성분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건물중 기준 30.2%으로 ‘팔광’보다 약 1.3%p 낮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47.0%로 나타내어 ‘팔광’의 41.7%보다 약 5.3%p 높았다(Table 6).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원1호’의 불포화지방산 중 올레산(Oleic acid, C18:1)은 전체 지방산 중 약 45.0%의 비율로 분포했으며,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은 32.2%의 비율로 분포하였다. 포화지방산 중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은 약 12.9%.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C18:0) 은 4.6%, 그리고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C20:0)과 베헨산(Behenic acid, C:22:0)은 각 1.9%, 2.8%를 차지하였다.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비(O/L 비)는 1.4로 ‘팔광’에 비해 약 0.2 낮았다.

Table 6

Chemical properties of dried kernel of ‘Gowon1’ (2016-2018, Regional yield trial, Miryang).

Variety Protein
(%)
Crude fat (%) Fatty acid composition (%)z O/L ratioy

Pal. Ste. Ole. Lin. Ara. Eic. Beh.
Gowon1 30.2 47.0 12.9 4.6 45.0 32.2 1.9 0.7 2.8 1.4
Palkwang 31.5 41.7 14.0 4.9 46.4 29.5 2.0 1.0 3.1 1.6

zPal.: palmitic acid, Ste.: stearic acid, Ole.: oleic acid, Lin.: linoleic acid, Ara.: arachidic acid, Eic.: eicosenoic acid, Beh.: behenic acid.

yRatio of oleic acid to linoleic acid.



수량성

‘고원1호’의 생산력검정시험에서 풋땅콩 수량성을 평가 한 결과, 2년간의 평균 수량은 약 10.72 MT⋅ha-1이며, ‘팔광’은 8.79 MT⋅ha-1으로 ‘팔광’ 대비 평균 22%의 증수를 보였다(Table 7).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동안 4개 지역에서 수행된 지역적응시험을 통해 풋땅콩의 수량성을 평가한 결과, ‘고원1호’의 평균 풋땅콩 수량은 12.25 MT⋅ha-1으로, ‘팔광’의 9.58 MT⋅ha-1의 약 128% 수준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able 8). 지역별 편차를 확인 한 결과, 3년간 4개 지역에서 대조 품종 ‘팔광’ 대비 최소 117%, 최대 155%의 수량성을 나타내어 연차 간 고른 증수를 보였다. ‘고원1호’의 생꼬투리를 대상으로 한 수량 관련 요소 평가에서 꼬투리의 개수가 42개로 ‘팔광’ 대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생꼬투리 무게의 경우 팔광의 약 114% 수준으로 높았다. 상품협 비율과 탈각비율은 ‘팔광’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건조하지 않은 풋 꼬투리에서 탈각한 종실 100립의 무게의 경우 약 151 g으로 팔광의 139 g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상품협수와 건조 전 꼬투리의 무게, 종실의 무게 등이 ‘고원1호’의 증수의 요인으로 보인다. 또한 ‘고원1호’의 지상부 특성 중 생육 후기까지 진한 녹색의 엽색이 유지되어 낙엽이 늦으며, 쓰러짐에 강한 특징이 지하부의 꼬투리의 후기 등숙 향상 등의 부가적인 요인으로 사료된다.

Table 7

Fresh pod yield of ‘Gowon1’ in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 (2014-2015).

Variety Fresh pod yield (MT/ha) Index


2014 2015 Mean 2014 2015 Mean
Gowon1 9.81 11.63 10.72 121 122 122
Palkwang 8.08 9.50 8.79 100 100 100


Table 8

Summarized fresh pod yield of ‘Gowon1’ in regional yield trial (2016-2018).

Location Gowon1 (MT/ha, A) Palkwang (MT/ha, B) Index
(A/B)


2016 2017 2018 Mean 2016 2017 2018 Mean
Miryang 12.34 11.46 12.48 12.09 9.32 8.58 8.98 8.96 135
Cheongju 12.73 10.19 12.36 11.76 8.19 8.11 10.06 8.79 134
Iksan 13.07 14.22 11.32 12.87 10.88 11.81 10.24 10.98 117
Daegu 11.41 11.92 13.44 12.26 10.31 9.70 8.72 9.58 128
Meanz 12.39 11.95 12.40 12.25**z 9.68 9.55 9.50 9.58 128

z**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in the paired t-test.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고원1호’는 대립 땅콩 품종의 성숙일수가 확보되는 경기 북부와 강원도 산간지 등을 제외한 전국이 적정 재배지역으로 권장된다. ‘고원1호’의 재배상 유의점으로 대립 특성 상 재배 적기에 파종되어 초기 생육 속도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며, 풋꼬투리 수 확보를 위해 유효개화기 기간 중 충분한 개화를 할 수 있도록 수분과 양분 등 적절한 재배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개화 이후 자방 출현기와 등숙기의 적절한 관수 등의 재배 관리를 통해 수량성을 충분히 발휘 시켜야 하며, 성숙기의 한발 피해로 꼬투리당 립수가 감소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적요

쓰러짐에 강하면서도 수량성이 높은 풋땅콩 재배용 품종 개발을 목표로 하여, 알이 크며 수량성이 우수한 ‘풍산’과 소분지이며 직립인 유망계통 ‘밀양47호’를 2008년 교배, 계통육성법으로 꼬투리가 크면서도 쓰러짐에 강하며 지하부 수량성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 육성하였다. ‘고원1호’의 지상부는 분지 수가 11개로 ‘팔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으나, 분지길이는 대조 품종인 ‘팔광’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잎이 진한 녹색을 띠며 모양이 좁고 뾰족한 것이 특징적이다. 종실은 장구형의 갈색이며 꼬투리당 2알씩 맺히며, 100립중은 98 g정도이다. 개체당 평균 꼬투리 수는 42개이며, 꼬투리 무게 대비 종실 무게의 비율은 약 67% 수준이었다. 3년간의 지역적응시험 결과 시험 지역 내 평균 풋땅콩 수량성은 12.25 MT⋅ha-1로 대조 품종 ‘팔광’의 약 128% 수준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고원1호’는 재배 시 충분한 풋수량성 발휘를 위해 적기 파종과 더불어 개화기 이후 충분한 관수와 양분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성숙기의 한발 피해로 인해 꼬투리당 립수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사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연구개발사업(PJ017387052024)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Lee JM, Pae SB, Choung MG, Lee MH, Kim SU, Oh E, Oh KW, Jung CS, Oh IS. 2016.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peanut seed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Korean J Crop Sci 61: 64-69.
    CrossRef
  2. Lee JI, Park HW, Park YH, Han ED, Ham YS, Kang KH. 1983. A new erect type, high oil content and high-yielding peanut variety 'Shinpung'. Res Rept Office of Rural Development 25: 190-194.
  3. Lee SW, Kim SD, Park JH. 1997. Growth and seed composition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s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mulching in peanut. Korean J Crop Sci 42: 647-651.
  4. Lee SW, Park CH, Kang CW, Kim SD. 1999. Changes in oil, tannin, total sugar contents and yield after flowering in peanut. Korean J Crop Sci 44: 159-162.
  5. Li W, Huang L, Liu N, Pandey MK, Chen Y, Cheng L, Guo J, Yu B, Luo H, Zhou X, Huai D, Chen W, Yan L, Wang X, Lei Y, Varshney RK, Liao B, Jiang H. 2021. Key Regulators of Sucrose Metabolism Identified through Comprehensive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in Peanuts. Int J Mol Sci 22: 7266.
    Pubmed KoreaMed CrossRef
  6. Norden AJ, Gorbet DW, Knauft DA, Young CT. 1987. Variability in oil quality among peanut genotypes in the Florida breeding program. Peanut Science 14: 7-11.
    CrossRef
  7. Oh YS, Cheong YK, Ko JC, Kim JT, Oh MK, Kim S, Kim JG, Park KH, Park MS, Cho SY. 1998. A wide adaptable high yielding new peanut variety 'Palkwangttangkong'. RDA J Indus Crop Sci 40: 117-121.
  8. Pae SB, Jung CS, Oh KW, Ko JC, Kim JT, Park CB. 2002. The changes of growth habits and pod setting for fresh peanut by seeding dates in southern part of Korea. Korean J Crop Sci 47: 374-378.
  9. Pae SB, Cheong YK, Lee YY, Shim KB, Jung CS, Lee MH, Hwang CD, Ahn YS, Suh DY, Kim HY. 2006. A new high-quality and high-yielding vegetable peanut cultivar, 'Baekan'. Korean J Breed Sci 38: 277-278.
  10. Pae SB, Cheong YG, Park CH, Lee MH, Hwang CD, Shim KB, Jung CS, Kang CW, Park KY, Park CB. 2008. A new short stem, disease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peanut 'Pungsan'. Korean J Breed Sci 40: 173-177.
  11. Pae SB, Park CH, Shim KB, Ha TJ, Lee MH, Hwang CD, Park KY, Lee HD. 2015. A new early maturing and high yielding vegetable peanut 'Boreom 1'. Korean J Breed Sci 47: 75-80.
    CrossRef
  12. Pae SB, Lee MH, Oh E, Kim SU, Kim JI, Yeo US, Oh KW, Cho KS, Kwak DY. 2020. A red skin and large grain vegetable peanut cultivar, 'Sewon'. Korean J Breed Sci 52: 158-164.
    CrossRef
  13. Park CH, Park HW. 2002. Review of the studies on the qualities in peanut. Korean J Crop Sci 47: 163-174.
  14. Pattee HE, Johns EB, Singleton JA, Sanders TH. 1974. Composition changes of peanut fruit parts during maturation. Peanut Sci 1: 57-62.
    CrossRef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1. 10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p. 102-103.
  16. Son YK, Hwang JJ, Kim SL, Hur HS, Park CH, Kim SD, Lee CK. 1998. Development of frozen vegetable groundnut product for year-round suppl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326-330.


September 2024, 56 (3)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Funding Information